
🚀접근하기 일단 첫째줄부터 차근차근 시작했다. 그림과 같이 dp[1]일 경우와, dp[2]일 경우를 일단 적어보았는데, dp[2]인 경우부터 max값을 사용해서 윗줄 중 더 큰 수를 선택해서 더해야 했다. 모든 경우를 다 max로 하면 indexError가 나기 때문에 어떻게 해야 할까 하다가 아예 경우를 3가지로 나눠야한다는 것을 깨달았다. dp[i][j]라고 한다면 먼저 1) j==0인 경우 2) j==(len(dp[i])) (그림에선 n이라고 표현함) 3)그 외의 경우 이렇게 3가지의 경우로 나누어주었다. 이런식으로 계속해서 윗줄부터 수를 더해준 후에, 마지막에 가장 마지막 줄 중에서 가장 큰 수를 출력해주면 된다. 🎉코드 N = int(input()) dp=[] for i in range(N): ..
알고리즘
2024. 1. 2. 16:19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SQLD
- DP
- 지연로딩
- 스프링 북마크
- 회원탈퇴
- 프론트엔드
- 준영속
- 인텔리제이
- 커뮤니티
- EnumType.ORDINAL
- 다이나믹 프로그래밍
- 로그아웃
- 웹MVC
- SQL 레벨업
- 백준
- SQL
- 영속
- 북마크
- 스프링부트
- JPA
- 웹 MVC
- 스프링 커뮤니티
- 자바 스프링
- elasticsearch
- 비영속
- 자바
- 백준 파이썬
- 로깅
- 스프링
- 파이썬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