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📍 문제 탐색하기
섬의 개수 문제는 지도 형태로 주어진 땅과 바다의 배열에서 연결된 땅(1)을 찾아 섬의 개수를 세는 문제이다.
가로, 세로, 대각선으로 연결된 땅은 같은 섬으로 간주된다.
입력 범위
- 지도의 너비 w, 높이 h: 1 ≤ w,h ≤50
- 지도 데이터: 0 (바다), 1 (땅)
- 여러 테스트 케이스가 입력되며, 마지막에 w,h가 0,0이면 종료된다.
가능한 시간복잡도
- 각 지도 크기가 최대 50×50=2500
- 각 지점에서 8 방향을 모두 탐색하더라도, 탐색 범위는 여전히 w×h에 비례하다.
- 시간복잡도가 O(w×h)인 DFS나 BFS를 활용하면 효율적으로 해결 가능하다.
알고리즘 선택
- DFS를 사용하여 8 방향(상, 하, 좌, 우, 대각선)을 탐색하며 연결된 섬을 찾는다.
- 이후에 설명하겠지만, DFS는 재귀적으로 탐색하므로, 재귀 깊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ys.setrecursionlimit을 조정했다.
- sys.setrecursionlimit는 오늘 문제를 풀면서 처음 알게되었다..!
📍 코드 설계하기
1. 문제의 입력을 받는다.
- 지도 크기 w, h와 땅/바다 데이터를 입력받는다.
- 0,0 입력이 들어오면 종료한다.
2. DFS 탐색 구현
- 8 방향으로 연결된 땅을 탐색한다.
- 탐색 중 방문한 지점은 visited 배열에 기록하여 중복 방문을 방지한다.
3. 섬의 개수 카운팅
- 모든 지점을 순회하며, 방문하지 않은 땅을 발견할 때마다 DFS로 연결된 모든 땅을 방문 처리하고 섬의 개수를 증가시킨다.
📍 시도 회차 및 수정 사항
1차 시도 (RecursionError 발생) ❌
import sys
input = sys.stdin.readline
while True:
w, h = map(int, input().split())
if w == 0 and h == 0:
sys.exit(0)
land = [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for _ in range(h)]
visited = [[False]*w for _ in range(h)]
# 상, 하, 좌, 우 + 대각선(8방향)
dx = [1, -1, 0, 0, 1, 1, -1, -1]
dy = [0, 0, 1, -1, 1, -1, 1, -1]
def dfs(r, c):
visited[r][c] = True
for i in range(8):
nr = r + dy[i]
nc = c + dx[i]
if 0 <= nr < h and 0 <= nc < w:
if land[nr][nc] == 1 and not visited[nr][nc]:
dfs(nr, nc)
cnt = 0
for i in range(h):
for j in range(w):
if land[i][j] == 1 and not visited[i][j]:
cnt += 1 # 새로운 섬 발견
dfs(i, j)
print(cnt)
- 문제: 지도 크기가 커지고, 섬의 크기가 클 경우 재귀 깊이를 초과하여 RecursionError가 발생했다.
2차 시도 (RecursionError 해결) ✅
import sys
sys.setrecursionlimit(10000)
input = sys.stdin.readline
while True:
w, h = map(int, input().split())
if w == 0 and h == 0:
sys.exit(0)
land = [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for _ in range(h)]
visited = [[False]*w for _ in range(h)]
# 상, 하, 좌, 우 + 대각선(8방향)
dx = [1, -1, 0, 0, 1, 1, -1, -1]
dy = [0, 0, 1, -1, 1, -1, 1, -1]
def dfs(r, c):
visited[r][c] = True
for i in range(8):
nr = r + dy[i]
nc = c + dx[i]
if 0 <= nr < h and 0 <= nc < w:
if land[nr][nc] == 1 and not visited[nr][nc]:
dfs(nr, nc)
cnt = 0
for i in range(h):
for j in range(w):
if land[i][j] == 1 and not visited[i][j]:
cnt += 1 # 새로운 섬 발견
dfs(i, j)
print(cnt)
- 해결: sys.setrecursionlimit(10000)으로 재귀 깊이를 증가시켜 문제를 해결했다.
📍 느낀점
최종적으로 이번 문제에선 sys.setrecursionlimit을 활용하여 기존 DFS 방식을 유지했지만, 효율적인 섬 탐색을 위해 BFS 또는 반복문 기반 DFS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 같다. 추가로 해 볼 예정이다!
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알고리즘] 백준 파이썬 10026 적록색약 (0) | 2025.01.09 |
---|---|
[알고리즘] 백준 파이썬 27737 버섯 농장 (0) | 2025.01.08 |
[알고리즘] 백준 1326 폴짝폴짝 파이썬 (0) | 2025.01.06 |
백준 파이썬 1431 시리얼 번호 (3) | 2024.03.13 |
백준 파이썬 1713 후보 추천하기 (0) | 2024.02.29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elasticsearch
- EnumType.ORDINAL
- 파이썬
- 자바
- SQL
- 영속
- 커뮤니티
- 준영속
- 인텔리제이
- 웹MVC
- 스프링 커뮤니티
- 회원탈퇴
- 스프링부트
- 다이나믹 프로그래밍
- 로깅
- 비영속
- 자바 스프링
- 백준
- 프론트엔드
- SQL 레벨업
- DP
- SQLD
- 북마크
- 백준 파이썬
- 스프링 북마크
- 스프링
- 지연로딩
- 로그아웃
- 웹 MVC
- JPA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