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재밌어서 일주일만에 진도를 정말 많이 나간 것 같다.
package com.example.firstproject.api;
import com.example.firstproject.dto.ArticleForm;
import com.example.firstproject.entity.Article;
import com.example.firstproject.repository.ArticleRepository;
import com.example.firstproject.service.ArticleService;
import lombok.extern.slf4j.Slf4j;
import org.springframework.beans.factory.annotation.Autowired;
import org.springframework.http.HttpStatus;
import org.springframework.http.ResponseEntity;
import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*;
import java.util.List;
@Slf4j
@RestController
public class ArticleApiController {
@Autowired
private ArticleService articleService; //서비스 객체 주입
// @Autowired //의존성 주입 (게시글 리파지터리 주입)
// private ArticleRepository articleRepository;
//GET
@GetMapping("/api/articles") //URL 요청 접수
public List<Article> index(){ //index()메서드 정의
return articleService.index();
}
@GetMapping("/api/articles/{id}")
public Article show(@PathVariable Long id){
return articleService.show(id);
}
//POST
@PostMapping("/api/articles")
public ResponseEntity<Article> create(@RequestBody ArticleForm dto){
Article created = articleService.create(dto);
return (created != null) ?
ResponseEntity.status(HttpStatus.OK).body(created) :
ResponseEntity.status(HttpStatus.BAD_REQUEST).build();
}
//PATCH
@PatchMapping("/api/articles/{id}")
public ResponseEntity<Article> update(@PathVariable Long id,
//Article을 ResponseEntity에 담아서 반환해야만 반환하는 데이터에 상태코드를 실어보낼 수 있으므로
@RequestBody ArticleForm dto){
Article updated = articleService.update(id, dto); // 서비스를 통해 게시글 수정
return (updated != null) ? //updated에 내용이 있다면
ResponseEntity.status(HttpStatus.OK).body(updated):
ResponseEntity.status(HttpStatus.BAD_REQUEST).build();
}//컨트롤러는 컨트롤러의 역할만. 컨트롤러는 서비스에 무슨 지시를 하고 무슨 데이터를 받아 오는지만 알면 됨. 실제 작업은 서비스에 맡김.
//DELETE
@DeleteMapping("/api/articles/{id}")
public ResponseEntity<Article> delete(@PathVariable Long id){
Article deleted = articleService.delete(id);
return (deleted != null) ?
ResponseEntity.status(HttpStatus.NO_CONTENT).build() :
ResponseEntity.status(HttpStatus.BAD_REQUEST).build();
}
@PostMapping("/api/transaction-test") //여러 게시글 생성 요청 접수
public ResponseEntity<List<Article>> transactionTest
(@RequestBody List<ArticleForm> dtos){
List<Article> createdList = articleService.createArticles(dtos); //서비스 호출
return (createdList != null) ?
ResponseEntity.status(HttpStatus.OK).body(createdList) :
ResponseEntity.status(HttpStatus.BAD_REQUEST).build();
}
}
articleapicontroller. 그냥 컨트롤러와는 다르게 웹 뿐만 아니라 안드로이드나 등등 다른 매체에도 데이터 전달이 가능하다.
이는 웹 페이지를 전달하는 게 아니라 데이터를 전달하기 때문.
package com.example.firstproject.api;
import com.example.firstproject.dto.CommentDto;
import com.example.firstproject.service.CommentService;
import org.springframework.beans.factory.annotation.Autowired;
import org.springframework.http.HttpStatus;
import org.springframework.http.HttpStatusCode;
import org.springframework.http.ResponseEntity;
import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GetMapping;
import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PathVariable;
import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RestController;
import java.util.List;
@RestController
public class CommentApiController {
@Autowired
private CommentService commentService;
//1.댓글 조회
@GetMapping("/api/articles/{articleId}/comments") //댓글 조회 요청 접수
public ResponseEntity<List<CommentDto>> comments(@PathVariable Long articleId){ //CommentDto인 이유를 모르겠음
//서비스에 위임
List<CommentDto> dtos = commentService.comments(articleId); //해당 게시글의 id를 알아야 해당 게시글의 댓글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
//결과 응답
return ResponseEntity.status(HttpStatus.OK).body(dtos);
}
//2.댓글 생성
//3.댓글 수정
//4.댓글 삭제
}
댓글 기능도 작성중...
comment에서 댓글 조회할 땐 왜 엔티티에서 DTO로 변환하는지... 를 잘 모르겠어서 이 부분을 더 깊이 공부해볼 생각.
웹 페이지를 화면에 보여주고(view)
클라이언트 요청을 받아 처리하고(Controller)
데이터를 관리하는(Model)
--> MVC 패턴
컨트롤러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고, 뷰가 최종페이지를 만들고, 모델이 최종 페이지에 쓰일 데이터를 뷰에 전달
컨트롤러에서 폼 데이터를 받을 때 DTO에 담아 받음
jdbc:h2:mem:c1bff1c8-d4f9-4a8f-bd71-797daab7ab08
168페이지 정독하기
그리고 특히 저번 스프링 입문 강의와는 다른점이 post방식으로 받을 때 dto라는 클래스를 만들어주는데,
package com.example.firstproject.dto; //컨트롤러에서 폼 데이터를 받을 때 DTO에 담아 받음
import com.example.firstproject.entity.Article;
import lombok.AllArgsConstructor;
import lombok.ToString;
@AllArgsConstructor
@ToString
public class ArticleForm {
private Long id;
private String title; //제목을 받을 필드
private String content; //내용을 받을 필드
//전송받은 제목과 내용을 필드에 저장하는 생성자 추가
// public ArticleForm(String title, String content) {
// this.title = title;
// this.content = content;
// }
// //데이터를 잘 받았는지 확인할 toString()메서드 추가
// @Override
// public String toString() {
// return "ArticleForm{" +
// "title='" + title + '\'' +
// ", content='" + content + '\'' +
// '}';
// }
public Article toEntity() {
return new Article(id, title, content);
}
}
이게 article dto.로 //컨트롤러에서 폼 데이터를 받을 때 DTO에 담아 받음
package com.example.firstproject.dto;
import com.example.firstproject.entity.Comment;
import lombok.AllArgsConstructor;
import lombok.Getter;
import lombok.NoArgsConstructor;
import lombok.ToString;
import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GetMapping;
@AllArgsConstructor
@NoArgsConstructor
@Getter
@ToString
public class CommentDto {
private Long id;
private Long articleId;
private String nickname;
private String body;
public static CommentDto createCommentDto(Comment comment) { //public static: 객체 생성 없이 호출 가능한 메서드 (생성 메서드)
return new CommentDto( //메서드의 반환 값이 댓글 DTO가 되도록 CommentDto의 생성자 호출
comment.getId(), //댓글 엔티티의 id
comment.getArticle().getId(), //댓글 엔티티가 속한 부모 게시글의 id
comment.getNickname(), //댓글 엔티티의 nickname
comment.getBody() //댓글 엔티티의 body
);
}
}
아직 다 완성되진 않은 댓글 dto.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프링부트 커뮤니티 만들기 #1 - 회원가입, 로그인 (0) | 2024.02.09 |
---|---|
스프링 부트 자바 백엔드 개발 입문 트러블 슈팅 모음집 (1) | 2024.01.20 |
[SPRING]스프링 입문 -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, 웹 MVC, DB 접근 기술 섹션7 (AOP) (0) | 2024.01.01 |
[SPRING]스프링 입문 -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, 웹 MVC, DB 접근 기술 섹션6 (스프링 DB 접근 기술) (3) | 2023.12.29 |
[SPRING]스프링 입문 -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, 웹 MVC, DB 접근 기술 섹션5 (회원 관리 예제 - 웹 MVC 개발) (2) | 2023.12.24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다이나믹 프로그래밍
- elasticsearch
- SQL 레벨업
- DP
- 영속
- 자바
- 스프링 북마크
- 지연로딩
- 북마크
- 스프링부트
- EnumType.ORDINAL
- 백준
- 로깅
- 스프링 커뮤니티
- 웹MVC
- JPA
- 준영속
- 비영속
- 로그아웃
- 프론트엔드
- 웹 MVC
- 커뮤니티
- 회원탈퇴
- 자바 스프링
- 파이썬
- 백준 파이썬
- 스프링
- SQL
- 인텔리제이
- SQLD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