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🚀접근하기 커서를 기준으로 왼쪽, 오른쪽에 무언가를 추가하고 삭제하고 해야하는 문제라 처음엔 어떻게 시작해야할지 되게 막막했던 문제이다. 그러나 커서를 기준으로 두 개의 배열을 생성하면 쉽게 풀리는 문제 ! 덱으로 구현하였다. 🎉코드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mport sys d1 = deque() d2 = deque() input = sys.stdin.readline s = input().rstrip() ##rstrip 매우 중요 for i in s: d1.append(i) M = int(input()) for i in range(M): com = input() c_list = list(com.split()) if c_list[0] == "L": if len(d1) == ..

🚀접근하기 소수문제의 끝판왕... 생각보다 어려웠다. n을 만들 수 있는 여러가지의 방법들 중에 b-a가 가장 큰 것을 출력해야 한다는 것이 조금 까다롭게 느껴졌다. 그래도 일단 리스트를 생성해서 소수와 소수가 아닌 것들을 구분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! 🎉코드 import sys n = 1000001 array=[True]*n for i in range(3, int(len(array) ** 0.5) + 1, 2): if array[i]: for j in range(i*2, n, i): array[j] = False while True: num = int(sys.stdin.readline()) if num == 0: break for i in range(3, int(num/2) + 1, 2): if arra..

🚀접근하기 이 문제는 그냥 덱을 활용할 수 있냐를 묻는 문제라 별로 어렵지 않았다. push_back X 에서 X의 값은 항상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어떻게 코드로 구현할 지 먼저 생각해보았던 것 같다. 🎉코드(시간초과)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 = deque() n=int(input()) for i in range(n): s=input() s_list=s.split(" ") if s_list[0] == 'push_back': d.append(s_list[1]) #덱의 뒤에 추가 elif s_list[0] == 'push_front': d.appendleft(s_list[1]) #덱의 앞에 추가 elif s_list[0] == 'pop_front': if len(d) == ..

아까는 2진수에서 8진수로 바꿔주었다면, 이제는 반대로 8진수에서 2진수로 바꿔주기! s=input() num_list = [int(digit) for digit in s] list=[] for i in range(len(num_list)): num=num_list[i]//4 list.append(num) num2=(num_list[i]-num*4)//2 list.append(num2) num3=(num_list[i]-num*4-num2*2)//1 list.append(num3) for i in range(len(list)): if list[0] == 0: list.remove(0) if len(list) == 0: print(0) else: print(''.join(map(str, list))) num..
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queue = deque() s = input() #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습니다. 예: "11001100" num_list = [int(digit) for digit in s] if len(num_list) % 3 == 1: queue.append(0) queue.append(0) for i in range(len(num_list)): queue.append(num_list[i]) elif len(num_list) % 3 == 2: queue.append(0) for i in range(len(num_list)): queue.append(num_list[i]) else: for i in range(len(num_list)): queue.append(..

str_list=input() str_list=str_list.split() num_list = list(map(int, str_list)) num = num_list[0] num2 = num_list[1] AB = int(str(num)+str(num2)) #문자열은 더하면 A+B=AB num = num_list[2] num2 = num_list[3] CD = int(str(num)+str(num2)) print(AB+CD) 문자열은 더하면 A+B = AB 임을 잊지 말기!!

# n=input() # #아스키 코드로 알파벳 리스트 만들기 # data = list(range(97,123)) # for i in data: # print(n.find(chr(i))) # n=input() # data='abcdefghijklmnopqrstuvwxyz' # data=list(data) # for i in data: # print(n.find(i)) n=input() data_list= [] for i in range(97,123): data_list.append(i) for i in data_list: print(n.find(chr(i))) 파이썬으로 언어를 바꾸고 처음으로 풀었던 문제... 파이썬은 참 내장함수가 많은 것 같다...!! 진작 바꿀걸 그랬다.ㅎㅎ find함수는 문자열에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프론트엔드
- SQL 레벨업
- EnumType.ORDINAL
- 스프링 커뮤니티
- SQLD
- 웹 MVC
- 로그아웃
- 인텔리제이
- 로깅
- 파이썬
- 백준 파이썬
- 회원탈퇴
- SQL
- 준영속
- 영속
- 백준
- 비영속
- DP
- 다이나믹 프로그래밍
- 웹MVC
- 북마크
- 지연로딩
- 자바 스프링
- 스프링부트
- 커뮤니티
- elasticsearch
- 스프링 북마크
- 스프링
- JPA
- 자바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